[기계제도] 공차 기호
[1] 기하 공차
기하편차의 허용값으로 아래 표에 기하공차의 종류 및 각각의 기호가 정해져 있다. 예를 들어 진직도란 물체의 직선부분이 기하학적으로 똑바른 직선에서 얼마만큼 비뚤어져 있는가 하는 그 크기를 말하며, 진직도 공차란 그 허용치이다. (기하편차의 정의 및 표시는 KS B 0425에 따른다).
[2] 공차역 (허용역)
기하공차에 의하여 규제받는 형체에 있어서 그 형체가 기하학적으로 옳은 모양, 자세 또는 위치로 부터 벗어나는 것이 허용되는 영역을 말한다.
[3] 진직도 (Straightness)
물체의 직선부분 (직선부분이란 기계에 있어서는 축의 중심선과 같은 단일 부분품의 일부와 그 밖의 여러 가지 일렬로 나란히 있는 베어링의 중심선을 이은 선과 같이, 서로 떨어져 있는 위치에 대하여 규정된 선도 포함하는 것으로 모든 기능상 직선상에 있게끔 지정된 유한한 길이의 부분을 말한다)이 이상직선으로부터의 어긋남의 크기를 말하다. (이상직선이란 직선부분 위의 두 점을 지나는 기하학적인 직선을 말한다).
[4] 평면도 (Flatness)
물체의 평면부분(평면부분이란 기계에 있어서는 기계 부분품 또는 조립된 기계중에서 평면이어야 할 부분 및 여러 개의 단속된 평면이 동일 평면 위에 있도록 지정되었으때, 일군의 평면을 총칭한다)
이 이상평면에 대하여 어긋남의 크기를 말한다(이상평면이란 평면부분 중 세 점을 포함하는 기하 학적평면을 말한다).
[5] 진원도 (Roundness)
물체의 원형부분(원의 평면도형과 물체의 단면이 모두 기능상 진원이 되도록 지정된 물체의 윤곽)이 진원에 대하여 어긋남의 크기를 말한다.
[6] 원통도(Cylindricity)
물체의 원통부분(단면의 지름이 기능상 원통이라고 볼 수 있는 부분의 윤곽)의 두 곳 이상 지름의 불균일의 크기를 말한다.
[7] 선의 윤곽도(Line profile)
이론적으로 정확한 치수에 의해서 정해진 기하학적 윤곽으로부터 선윤곽의 어긋남의 크기를 말한다.
[8] 면의 윤곽도(Surface profile)
이론적으로 정확한 치수에 의해서 정해진 기하학적 윤곽으로부터 면윤곽의 어긋남의 크기를 말한다.
[9] 평행도(Parallelism)
평행을 이루고 있는 직선부분과 직선부분, 직선부분과 평면부분, 평면부분과 평면부분의 조합에 있어서 그 가운데 하나를 이상직선 또는 이상평면으로 생각하고 이것에 대하여 다른 직선부분 또는 평면부분이 평행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것을 평행도라 한다.
[10] 직각도(Squareness)
직각을 이루고 있는 직선부분과 직선부분, 직선부분과 평면부분, 평면부분과 평면부분의 조합에 있어서 그 가운데 하나를 이상직선 또는 이상평면으로 생각하고 이 이상직선 또는 평면에 대해 다른 쪽의 직선부분 또는 평면부분이 직각인가를 나타내는 것을 직각도라 한다.
[11] 경사도(Angularity)
이론적으로 직각을 제외한 정확한 각도를 이루고 있어야 할 직선부분과 직선부분, 직선부분과 평면부분, 평면부분과 평면부분의 조합시 어느 한쪽을 기준으로 하여, 이 기준직선 또는 기준평면에
대한 이론적으로 정확한 각도를 이루고 있는 기하학적 직선 또는 기하학적 평면으로부터의 다른 한쪽의 직선부분 또는 평면부분의 어긋남의 크기를 말한다.
[12] 위치도(Position)
점, 선, 직선 또는 평면부분 중 기준이 되는 부분 또는 다른 부분과 관련되어 정해진 이론적으로 정확한 위치로부터 어긋남의 크기를 말한다.
[13] 대칭도(Symmetry)
기준직선 또는 기준중심 평면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어야 할 부분이 대칭위치로부터 어긋남의 크기를 말한다.
[14] 흔들림(Run-out)
기준축선의 둘레의 기계부품을 회전시켰을 때에 고정점에 대해 두 표면이 지정된 방향으로 변위하는 크기를 말한다(여기서 지정된 방향이란 축선과 교차되며 기준축에 대해 수직 또는 경사진 방향 또는 기준축에 평행한 방향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