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강용 피복아크 용접봉의 피복제 - 계통별 특성, 기호와 의미
피복제에 대한 간략한 데이터시트라고 봐도 될 거 같습니다.
피복제 | 특징 | |
일미나이트계(E4301) (ilmenite type) | ① 일미나이트 광석 등을 주성분으로 한 슬래그(slag) 생성계 용접봉임. ② 작업성, 용접성이 우수함. ③ 전 자세용 용접봉임. ④ 슬래그의 포피성이 양호하고, 제거가 쉬움. ⑤ 슬래그의 유동성이 좋고 용입이 깊음. ⑥ 비드(bead)의 형상이 가늘고 아름다움. ⑦ X-선 성능, 내균열성, 능률이 좋음. ⑧ 일반 구조물이나 압력 용기 등의 중요 구조물용으로 널리 사용됨. | |
라임 티타늄계(E4303) (lime titanium type) | ① 슬래그 생성계, 비드 외관이나 작업성이 양호함. ② 산화티탄(TiO2), 탄산석회 등을 주성분으로 함. ③ 아크가 조용하고, 용입이 낮음. ④ 박판 용접에 적합함. ⑤ 슬래그는 유동성이 풍부하고, 다공질이므로 제거가 용이함. ⑥ 전 자세 용접이 가능함. ⑦ X-선 성질이 일미나이트계보다 약간 부족함. | |
고셀룰로오스계(E4311) (high cellulose type) | ① 피복제 중에 함유된 유기물이 연소할 때 발생한 다량의 가스가 용착 금속을 보호함. ② 아크가 강하고, 용입이 깊음. ③ 슬래그 생성물이 적어 위보기 자세, 수직 자세의 용접성이 좋음. ④ 표면의 파형이 나쁘며, 스패터(spatter)가 많음. ⑤ 기공이 생기기 쉬움. ⑥ 과대 전류를 사용하면 용착 금속에 나쁜 영향이 생김. | |
고산화티탄계(E4313) (high oxide titania type) | ① 피복제에 35% 정도의 산화티탄을 함유함. ② 아크가 연하고 안정함. ③ 스패터가 적고, 용입이 얕음. ④ 슬래그의 외관이 아름다움. ⑤ 비드의 외관이 아름다움. ⑥ 용착 금속의 연성, 인성이 다른 피복제의 용접봉에 비해 부족함. ⑦ 내균열성이 나쁨. ⑧ 박판 용접에 적당함. | |
저수소계(E4316) (low hydrogen type) | ① 탄산칼슘(CaCO3), 불화칼슘(CaF)을 주성분을 함. ② 용착 금속 중의 수소 함량이 적음. ③ 강력한 탈산 작용으로 강인성이 풍부하고, 기계적 성질, 내균열성이 우수함. ④ 중탄소강, 고장력강의 용접에 이용됨. ⑤ 아크는 약간 불안정하고, 균열 감수성이 낮음. ⑥ 이행하는 용적의 양이 적고, 입자가 큼. ⑦ 비드는 볼록형임. ⑧ 운봉에 숙련이 필요함. ⑨ 비드의 시단, 이음부에 기공(blow hole)이 발생하기 쉬움. | |
철분 산화티탄계(E4324) (iron powder titania type) | ① 고산화티탄계(E4313)에 다량의 철분을 첨가한 것임. ② 스패터(Spatter)가 적고, 용입이 얕음. ③ 용착 속도가 빠르고, 용접 능률이 좋음. ④ 아래보기, 수평, 필렛 용접에만 사용됨. | 철(Fe): 능률이 좋음. |
철분 저수소계(E4326) (iron powder low hydrogen type) | ① 저수소계(E4316)에 다량의 철분을 첨가한 것임. ② 저수소계에 비해 용착 속도가 빠르고, 용접 능률이 좋음. | |
철분 산화철계(E4327) (iron powder iron oxide type) | ① 산화철을 주성분으로 다량의 철분을 첨가한 것임. ② 용착 효율이 좋고, 용접 속도가 빠름. ③ 아크는 스프레이형임. ④ 스패터가 적고, 용입이 양호함. ⑤ 슬래그 제거가 양호하고, 비드 표면이 깨끗함. ⑥ 용착 금속의 기계적 성질이 좋음. |
* 연강용 피복아크 용접봉의 기호의 의미
'기계공학 > 용접(Weld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접(Welding)] 용접에 대한 소개 (0) | 2018.04.24 |
---|